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꿈의동산
- 6K0IK
- #상천리
- 6K2ELK
- #가평여행
- 꿈의동산 놀이공원
- 밀성박씨
- 숭덕전참봉
- CQ쟁이
- 6K2BDP
- 당일치기여행
- 6K2CRE
- 신라시조대왕
- 숭덕전제례무형문화재
- 가평당일치기
- 남도여행
- 가평군
- 청평면
- 가평 가볼만한 곳
- 6K2CPL
- 가평 꿈의동산
- 박씨시조대왕
- 6K2CPV
- 산책길
- 가평꿈의동산
- #가평군
- 6K2FDD
- 에덴벚꽃길
- 여행스케치
- 가평여행
- Today
- Total
cq쟁이
밀성박씨 충헌공파 족보발간을 주관한 고암공 후예 계보 본문
밀성박씨 충헌공파 족보 약사[略史]
우리 밀성박씨 충헌공파 족보는 판서공(휘 밀양) 후 참의공(휘 경)파 고암공(휘 관)의 손자 동호공 대사간 박정원 선조의 둘째아들 농아 대사헌 박천영(朴千榮)공과 동호공의 백형 장주공(휘 진원) 손자 청숙 호조판서 박신규(朴信圭)공과 족친 대제학공(휘 대양) 후 돈계공파의 충청도관찰사 박신(朴紳)공과 함께 우리 일족이 밀성의 대성에 세상의 갑족으로 오래된 족보의 미진함에 양 종중의 가보(家譜)을 정리 정사년(1677년)에 족보를 엮어놓고 미쳐 인쇄를 못하고 농아공과 청숙공이 돌아가신 후 신사년(1701년)에 감사공(휘 신)과 선산공(휘 중규) 함께 의논하고 구보(舊譜)를 정리하여 인쇄 간행한 신사보(辛巳譜)가 우리파의 최초 족보이다. 서문은 정사년에 청백리 증영의정 행호조판서 박신규(朴信圭)공께서 작성한 것이다. 『서문참조』
1. 신사보(1701년) 박중규
신사년(1701년)에 농아공(휘 천영)의 아들 선산부사 박중규(朴重圭)공과 청숙공(휘 신규)공의 아들 승지 박명의(朴明義)공과 대제학공 후 돈계공파의 충청도관찰사 박신(朴紳)공과 미쳐 인쇄하지 못하고 엮어놓은 정사보[丁巳譜]를 함께 의논하고 수정하여 신사보[辛巳譜]를 간행하였다.
『판서공 후 참의공파 고암공 좌승지 박관 선조의 손자 동호공(휘 정원)의 첫째 아들은 한성판관 박만영(朴萬榮)공이며 정사년(1677년)에 족보를 엮어 놓고 미쳐 인쇄하지 못하고 돌아가신 대사헌 박천영(朴千榮)공은 둘째 아들이다. 농아공(휘 천영)의 첫째 아들은 이조참판 박현규(朴玄圭)공이며 선산부사 박중규(朴重圭)공은 둘째 아들이다.』
참고: 당시 선산공(휘 중규)은 대제학공(휘 윤문) 배위 해양군부인 광산김씨 묘지명을 둘째 조카 생원 박필의(朴必義)공의 집에 보관하고 있던 정몽주 선생이 찬한 묘지명을 확인하고 감사 박신(朴紳)공과 함께 묘소를 확인하여 선산부사 박중규(朴重圭)공께서 대제학공(휘 윤문) 묘소에 묘갈을 세웠습니다.
2. 갑자보(1804년) 박시양
대제학공 후 돈계공파의 박제도(朴齊道)공께서 족질 박장민(朴長民)공과 판서공 후 동호공파의 박시양( (朴時養 농아공 휘 천영 6대손) 세분이 함께 논의하여 1804년에 갑자보(甲子譜)를 간행하였다.
『박제도(朴齊道)공은 조선후기 실학자 초정 박제가(朴齊家)공의 형님이다.』
3. 신묘보(1831년) 박영재
청숙공 증영의정 행호조판서 박신규 선조의 5대손 광주목사 박영재(朴英載)공이 속간[續刊]을 주관하여 발간한 것으로 충청도관찰사 박신(朴紳)공의 현손 지평 박장여(朴長輿)공과 지평공의 족제 좌승지 박장복(朴長復)공과 함께 의논하고 일족에게 통지하여 봉급을 털어 간행한 1831년 신묘보(辛卯譜)이다.
4. 경술보(1850년) 박용구
경술년(1850년)에 판서공 후 동호공파 병조참의 박용구(朴龍九)공 주관하에 우리파의 중시조 충헌공(휘 척)으로부터 400여년 만에 대제학공(휘 윤문) 묘하에 살고 있는 6파 가운데 진사공파와 참찬공, 장사랑공 양파가 합보한 1850년에 경술보(庚戌譜)를 간행하였다. 정언공파는 대제학공(휘 대양) 후예 참의 박장여(朴長輿)공이 주관하는 신해보(1851년)에 합가한 기록의 서문을 확인.
참고: 당시 대제학공(휘 윤문) 선산하에 위토와 재각이 없음을 개탄 경술(1850년) 12월 5일 박현구(朴顯九)공은 병조참의 박용구(朴龍九) 외 십여인과 제전 마련 및 재실 건립비로 500냥을 모금코자 경향각지 자손들에게 통지 모금하여 신해(1851년) 10월 6일 대사동 김진해 가옥 8동 7간 대금 215냥으로 매매 계약하여 창건하였음.
『병조참의 박용구(朴龍九)공은 1701년 신사보 간행을 주관하셨던 선산공의 형님 이조참판 박현규(朴玄圭)공의 6대손이다. 밀양 하남읍 서당골에 경모재 창건을 주관한 박현구(朴顯九)공은 농아 대사간 박천영 선조의 장조카 이며 선산공의 사촌형 통덕랑 박하규(朴夏圭)공의 6대손이다.』
5. 병인보(1866년) 박소구
판서공 후 묵재공파 승정원 좌부승지 박명재(朴鳴載)공은 고암공(휘 관)의 둘째 동생 묵재공(휘 인)의 8대손이며, 동호공파 선산공의 형님 이조참판 박현규 선조의 6대손 부호군 박소구(朴韶九)공과 함께 주관하여 보첩의 속간을 완성하니 6파 모두가 참여한 1866년 병인보(丙寅譜)이다.
『부호군 박소구(朴韶九)공은 갑자보(1804년)를 발간한 박시양(朴時養)공의 아들이며, 경술보(1850년) 발간한 병조참의 박용구(朴龍九)공과 삼종형제로 선산공(휘 중규)의 형님 이조참판 박현규(朴玄圭)공의 6대손 이다.』
追: 병조참의 박용구(朴龍九)공의 증조 대사간 박기채(朴起采)공은 숭덕전 신라시조 위판(位版)과 묘비명(墓碑銘)에 왕자를 더해 신라시조왕으로 쓰게 해달라는 신미년(1751년 영조27년) 상서를 올릴때 대사간공(휘 기채)은 진신유사(縉紳有司)로 참여하였고, 경명왕의 아들 8대군 분봉사실을 정리하셨던 여러 기록들이 신라박씨 소원록(1760년)에 자세히 나와 있음.
동호공 대사간 박정원 선생 12대손 박지희 정리 (시조왕 67세 충헌공 26세)
『계보도는 대제학공파 후예 외 판서공파 후 고암공 직계후손 만 정리한 것입니다.』
'종중행사 게시판 > 족보 편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성박씨 충헌공파 경술보(1850년) 병조참의공 박용구 발문 (0) | 2022.11.01 |
---|---|
밀성박씨 충헌공파 신사보(1701년) 청숙공 박신규 서문 (1) | 2022.09.27 |
밀성박씨 충헌공파 대동보(族譜) 발간안내 (0) | 2022.08.25 |
밀성박씨 충헌공파 대동보 편찬위원장 선임 (0) | 2022.04.11 |
밀성박씨 충헌공파 대동보 편찬 추진위원회 회의 (0) | 2021.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