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가평꿈의동산
- 숭덕전제례무형문화재
- 6K0IK
- #가평군
- 6K2BDP
- 청평면
- 박씨시조대왕
- 가평 가볼만한 곳
- 당일치기여행
- 6K2CRE
- #상천리
- 6K2ELK
- 꿈의동산 놀이공원
- 꿈의동산
- 가평군
- 가평여행
- 숭덕전참봉
- CQ쟁이
- 여행스케치
- 남도여행
- 밀성박씨
- 에덴벚꽃길
- 6K2CPV
- 6K2CPL
- 산책길
- 가평당일치기
- #가평여행
- 가평 꿈의동산
- 6K2FDD
- 신라시조대왕
- Today
- Total
목록나의뿌리 (65)
cq쟁이

박거겸 장군은 밀성박씨 충헌공(휘 척)의 후예로 정언공(휘 삼양)의 5세손이다. 조선 전기 무신(武臣)이며 자는 중공(仲恭)으로 아버지는 증호조판서 경빈(景斌)이다. 1432년(세종14년) 문음으로 별시위(別侍衛)에 속하였고, 내금위(內禁衛)로 옮겨 호군(護軍)으로 있다가 1442년 무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대호군으로 세자우익위(世子右翊衛)를 겸하였다. 그 뒤 지훈련관사(知訓鍊觀事)를 거쳐 1443년에 북청도호부사(北靑都護府使)를 지냈고, 1449년에는 경흥도호부사(慶興都護府使)가 되어 새로 설치된 육진(六鎭)을 수비하여 야인 정번레 공을 세웠다. 문종, 단종때에 대호군 경상도처치사(慶尙道處置使)등을 역임하고 1455년(세조1년) 첨지중추원부사로 원종공신(原從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1457년 중추원부..

밀산군 박공 신도비명(密山君 朴公 神道碑銘) 밀산군이며 봉순대부 판전교시사 전법판서를 역임한 박공은 휘가 밀양(密陽)이니 고려때 훌륭한 신하이고 보문각 대제학 밀성군 윤문(允文)의 아들이라 정포은 몽주(鄭圃隱 夢珠)와 이목은 색(李牧殷 穡)등과 도의로서 교류하였으며 세상에서 말하는 훌륭한 육형제중 제일 큰 형이다. 육백여년을 지나는 동안 여러번 전쟁을 만나서 묘소를 실전하였으므로 배위와 같이 충청도 옥천군 청산면 판수리 갑좌(甲坐) 언덕에 설단(設壇)을 하여놓고 해마다 시향을 올리니 자손들의 근본을 찾고 먼 원대를 추모하는 의리가 지극히 다한 것이라 공은 영특한 자질로서 학문에 힘을 썼고 태어날 때부터 훌륭함이 있어 덕행(德行)을 채워 나갔고 사공(事功 : 성공)이 나타났다. 양친을 봉양함에 있어 살아서..
平安都事 贈大司諫 朴公 墓碣追錄 (睡谷先生集卷之十二 / 墓碣) 公卒之八十年乙酉。大臣以公事始終。白於上。上曰。有是哉。生未及顯用耶。是宜置臺閣也。遂贈公司諫院大司諫。兩淑人俱贈淑夫人。噫。若公可謂久而必伸矣。男萬榮。官漢城府判官。千榮。文科掌樂院正。壻辛後元。童蒙敎官。尹棨。丙子。守南陽殉節。孫男夏圭,商圭。女壻韓濙掌令,李濬。曾孫男宗義,宏義。女壻崔敬基進士,柳垕生員 。男興義生員。女壻任守紀。外曾孫男韓世鳴,世貞,世成。男李繼程,希程生員。女壻韓圭宣傳官。判官出也。孫男玄圭,重圭羅州牧使。女壻柳命傳,鄭載恒府使。李喜重。曾孫男守義主簿。必義。男敦義進士。外曾孫男柳襍主簿。女壻李慶休參奉。鄭男同先參奉。李壻朴泰翰正出也。外孫男辛益慶,壽慶,彥慶。女壻李紳夏。禮賓寺正。嚴震耇進士。外曾孫男辛迪監役。女壻沈思沈縣監。任以進,尹遇明縣監。李聃齡,李春蕃,許璜,李益。男辛逵進士。女壻..
용주유고 제14권 / 지(誌) 龍洲先生遺稿卷之十四 / 誌 정랑 증참판 조공 묘지명 병서 〔正郞贈參判趙公墓誌銘 幷序〕 내가 서울에 있을 때였다. 어느 날, 현 대사헌 조사정(趙士靜 조수익(趙壽益))씨가 자기 선친의 행장을 가져와 내게 주며 말하기를, “우리 선친의 작위가 비록 지금 사람들이 대단하게 여기는 정도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지조와 행실은 거의 옛사람에 가깝습니다. 불행히 저희들을 버리고 떠나신 지 지금 십여 년이 되었는데도 명문(銘文)이 없어 새기지 못했으니, 어찌 불초한 저의 죄가 아니겠습니까. 그러나 이는 실로 선생을 기다린 것이니, 감히 지어주시기를 청합니다.” 하였다. 내가 여러 차례 사양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행장을 살펴보니 다음과 같다. 공의 휘는 직(稷), 자는 여형(汝馨),..